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전환 이전에 디지털방송이 있었으니 주인공은 바로 IPTV 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IPTV는 태생 자체가 디지털입니다. IPTV는 처음 실시간 방송이 이뤄지기 전부터 주문형비디오(VOD)를 통해 인기를 모았습니다.

VOD는 지금이야 IPTV는 물론, 케이블TV까지 보편화된 서비스로 자리매김했지만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것은 오랜 기간 이어오던 TV 시청 습관을 바꾸는 획기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예전 ‘모래시계=귀가시계’라는 말처럼 굳이 본방사수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조금의 비용을 더 내면, 혹은 좀 기다린 후에는 원하는 시간에, 비디오를 보듯 빨리 돌려볼 수도 있습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가 최근 발간한 ‘유료방송 가입과 동영상 콘텐츠 소비’ 보고서를 보면, 지상파 방송의 수신 없이 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고, 실시간으로 본방을 사수하는 것이 아니라 VOD나 온라인 스트리밍을 통한 미디어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VOD야말로 현 시점에서는 디지털전환에 따른 가장 큰 성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이제는 시청률 조사는 전혀 믿을 수 없다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아마 VOD를 포함해 제대로 된 시청점유율 조사를 하게 된다면 방송가는 난리가 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VOD 말고 다른 성과는 무엇이 있을까요.

디지털전환의 가치는 대용량의 정보를 빠른 시간에 양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아날로그 시절 제한적이었던 채널 수는 무한대로 늘어났습니다. 융합으로 통신과 방송신호의 구분도 사라집니다. IPTV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양방향이 가능하다는 것은 일방적인 시청이 아니라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T커머스 주고받는 다양한 서비스도 가능해집니다. 특히, IP가 TV와 접목된 순간 TV는 단순히 화면만 보여주던 스크린에서 PC와 같은 정보기기 역할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단순하게는 안방에서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TV에서 유투브도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게임은 기본이고 다양한 교육 정보도 찾을 수 있습니다. 교육, 정보, 게임 등 컴퓨터에서 하던 대부분을 TV가 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렇다면 ‘바보상자’ TV는 이제 스마트해졌을까요?

당초 TV를 ‘바보상자’라고 부른 이유는 일방적인 소통에 있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의 도구가 아니라 정보의 전달자에 불과했습니다.

디지털의 핵심은 양방향입니다. 인터넷 검색이나 유투브, 노래방 같은 서비스들은 사실 디지털전환의 성과라고 보기보다는 인터넷에 연결돼 이용할 수 있는 단방향 서비스에 가깝습니다. 내가 무엇인가를 주도적으로 하지만 이미 PC 등에서 구현 가능한 서비스들입니다. TV라는 장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은 아닙니다.

TV만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양방향 경험이라면 무엇보다 방송 콘텐츠와 연결을 시켜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드라마를 시청하다가 주인공이 입은 옷이나 백 등을 바로 구매하는, 즉 T커머스가 대표적인 양방향 서비스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정부는 디지털전환으로 이러한 시대가 올 것으로 보고 10개나 되는 사업자를 무더기로 승인했지만 기존 홈쇼핑 채널과 차이는 없습니다. 오히려 화면 크기가 작고 쇼호스트가 없어 이용에 불편하기만 합니다. 사실 제작단계부터 이러한 장치를 심어야 하지만 우리 방송 제작 현실과는 차이가 컸던 것입니다.

그러한 측면에서 TV는 이제 ‘바보상자’ 취급에서 벗어날 수는 있겠지만 ‘스마트’까지는 물음표입니다. 디지털전환의 성과는 절반의 성공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디지털의 진정한 성과는 언제쯤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3회 ‘디지털 가치, 모바일에서 해답을 찾다’에서 생각을 공유해봅니다.

[채수웅 기자 블로그=방송통신세상]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