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프트웨어(SW)를 구매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인터넷에 접속해 빌려쓰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는 지난해 IDC 기준 전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SaaS 업체들의 매출과 인력고용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최근 미국 SW정보산업협회 등이 발표한 한 보고서에 따르면, 비상장기업을 포합한 상위 25개 SW 및 SaaS 기업들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약 150% 이상 성장했다. 인력 고용 역시 30~40% 가량 늘리고 있으며, 벤처캐피탈로부터 받는 투자금 역시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가 발표한 ‘2014년 클라우드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공급기업 조사 대상 164개 기업 중 대부분인 88.4%(145개)가 중소 SW 기업으로 이중 27%에 해당하는 45개 기업이 SaaS를 제공 중이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한국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투자 규모가 오는 2018년까지 연평균 15.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SaaS 부문의 투자는 이보다 높은 28.5%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16.9% 의 성장률을 기록한 IaaS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가트너는 국내 SaaS 시장 규모가 지난해 1735억원에서 2018년 4276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미 많은 기업이 고객관계관리(CRM)와 전사적자원관리(ERP) 솔루션 등을 SaaS 형태로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앞으로 SaaS를 준비하는 국내 기업의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해외진출을 노리는 기업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클라우드 산업 주관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 역시 국내 SW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것이 현재 진행 중인‘2015 클라우드 서비스(SaaS) 지원 사업’이다. 이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으로 주관하고 있다. 이를 잘 활용할 경우, 보다 수월한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이 사업은 SaaS 개발이 가능한 국내 중소 SW 및 IT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형(B2B)과 일반형(B2C)으로 나눠 연간 총 10억원 내외의 개발비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B2B는 1개 과제 3억원, B2C는 4개 과제 각 1억7000만원이 지원되며, 선정된 과제는 개발내용에 따라 최대 2년까지 비용을 지불한다. 이미 2차에 걸친 SaaS 개발 지원 사업 기업까지 선정한 상태다.

미래부는 특히 ‘SW 중심사회’의 핵심과제인 클라우드 산업 발전을 위해 SaaS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SaaS는 국내 SW 기업이 클라우드 시장에 진입해 역량을 발휘하고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해외진출이 가능한 분야”라며 “추석 이후 이달 말부터 클라우드 발전법 시행에 발맞춰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SaaS 도입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트너 임진식 연구원도 “IaaS가 현재는 가장 보편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이지만 앞으로 3년 동안 SaaS 부문에서 더 많은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며 “이러한 기회를 성공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민첩성과 비용 절감 등과 같은 시장 가치 제안을 활용해서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의 강점을 홍보하고 산업별 비즈니스 사례를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