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설립된 한국오라클 노동조합(노조)가 16일 파업에 들어간다고 예고해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오라클 노조의 상급 단체는 민주노총 산하 전국사무금용노동조합연맹입니다. 외국계 IT기업 노조 가운데 파업까지 감행하는 곳은 최초라고 합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 조합원 대상 쟁의 찬반 투표에서 96%의 찬성율로 파업이 가결됐다고 하는데요. 투표 참가율은 82.5%였습니다. 한국오라클 전체 직원 수는 약 1000여명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노조에 가입한 인원은 전체 직원의 약 60%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노조는 16일부터 18일까지 우선 3일 간 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는데요. 사측의 교섭 의지에 따라 파업이 빨리 끝날 수도, 연장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오라클이 직접 지원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일부 대기업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노조는 왜 파업을 결정했을까요?

한국오라클 노조에 따르면, 파업의 이유는 사측과의 협상 결렬 때문입니다. 노조는 지난해 10월 설립 이후, 고용안정과 임금인상, 노조활동 보장, 복지증진 등 4가지 핵심 사안에 대해 회사와 작년 12월부터 최근까지 총 19차례 교섭과 3번의 조정회의를 거쳤다고 합니다. 하지만 노조가 제시한 요구사항이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김철수 한국오라클 노조위원장은 “2008년부터 거의 10년 간 연봉이 동결된 사람이 상당히 많고,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컴플라이언스 이슈를 들이밀며 권고사직을 강요하고 있어 고용불안이 크다”고 말합니다.

보통 외국계라고 하면 연봉을 많이 받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입사 후 3~5년 기본 연동동결에 올라도 1% 미만으로 인상돼 생활고를 겪는 지원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사직압력 등에 따른 고용 불안정도 노조에 사측에 요구하는 핵심 사안입니다. 그동안 암암리에 허용해왔던 것들에 갑자기 엄격한 잣대를 들이밀어 사직을 권고하고 있다는 것이 노조의 설명입니다. 

실제 영업직으로 근무하던 한 오라클 직원은 자신의 영업 매출이 예상보다 훨씬 높아지자 갑자기 성과급 지급률을 불리하게 수정해 성과급을 적게 지급한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 이 직원은 임금미지급을 이유로 오라클을 고소했으나 검찰은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을 내린 바 있습니다.

그는 “이런 일들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조기퇴직프로그램(ERP)을 돌리면 차라리 나은데 갑자기 컴플라이언스를 적용해 직원을 너무 많이 해고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회사를 떠난 직원만 100~150여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노조는 직원복지향상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해보험의 경우 직원의 입사시점에 따라 부모님 혜택 등이 없습니다. 직원 간 복지 불균형이 크다보니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직원이 많다는 것입니다. 상조 서비스도 국내 대기업과 비슷하게 맞춰줄 것을 주장합니다. 이밖에 노조활동을 인정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노조가 제시한 요구들이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파업으로 인해 불편을 겪게 될 고객사에 죄송하게 생각하지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불가피하다는 것을 이해해주면 감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하루 앞으로 다가온 파업을 앞두고 한국오라클 및 오라클 본사가 어떠한 조치를 취할지 향방이 주목됩니다.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